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화 소스코드 결말 줄거로 스포

꿀잼 영화 정보

by 쿠로스 2020. 10. 28. 17:29

본문

감독

덩컨 존스

각본

벤 리플리

제작

마크 고든, 필립 로셀렛, 조던 윈

기획

젭 브로디, 파브리스 지안페르미, 호크 콕

촬영

돈 버지스

편집

폴 허시

미술

배리 추시드, 피에르 페롤, 수전 클로티어

음악

크리스 베이컨

출연

제이크 질렌할, 미셸 모나한, 베라 파미가, 제프리 라이트 등

장르

액션, SF, 스릴러

제작사

방돔 픽처스, 마크 고든 컴퍼니

배급사

서밋 엔터테인먼트

㈜롯데 엔터테인먼트

수입사

데이지엔터테인먼트

촬영 기간

2010년 3월 1일 ~ 2010년 4월 29일

개봉일

미국 2011년 4월 1일

대한민국 2011년 5월 4일

제작비

$32,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54,712,227

월드 박스오피스

$147,332,697

상영 시간

93분

총 관객수

대한민국 1,277,690명

국내등급

12세 이상 관람가

주어진 8분의 시간을 계속 반복하여 열차를 폭파한 테러리스트를 추적한다는 기본 설정을 바탕으로, 그 8분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전개가 펼쳐지는 이색적인 영화.

줄거리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모든게 시작되는 열차

문득 정신을 차리고 보니 콜터 스티븐스 대위(제이크 질런홀 분)는 자신이 열차에서 모르는 여자와 한창 대화 중이었다는걸 깨닫는다. 그는 자신을 콜터 스티븐스 대위이며 헬기 조종사이고, 아프가니스탄에 있어야할 자신이 왜 시카고로 가는 열차에 있냐고 여성에게 묻는다. 대화 상대 크리스티나 워런(미셸 모나한 분)은 자신을 계속 역사 교사 숀 펜트리스라고 부르고, 어찌된 상황인지 몰라 하던 콜터는 곧 열차가 폭발물에 의해 폭파되는 상황에 처해 목숨을 잃는다. 그리고 그는 죽음과 동시에 깨어나게 되는데...

 

갇힌 공간과 반복되는 8분

한번 죽은 다음 정신을 차린 대위가 깨어난 곳은 어느 밀폐된 캡슐 같은 공간. 그곳에서 굿윈이라는 여성 장교가 당신은 임무 수행 중이라며 기억요법으로 모든 걸 떠올리게 만든다. 대강 기억을 떠올린 대위는 다시 한번 8분의 시간에 빠져들고, 그 8분의 세계는 아침에 있었던 열차 테러 사고의 희생자 숀 펜트리스라는 남자의 뇌에 접속하여 같은 시간을 반복하는 것이었다. 계속해서 8분을 반복하면서, 완전히 다른 용의자를 따라가다가 허탕을 치기도 하고, 여주인공의 마음을 캐내기도 하며, 총을 몰래 꺼내려다 전기 충격기에 맞아 허탕을 치는 뻘짓을 하면서 서서히 진상에 접근하는데...

 

 

 

밝혀진 진실

대위는 자신이 이미 아프간에서 죽었으며 그 자신도 숀 펜트리스의 경우처럼 소스 코드로 이용당하고 있었단 걸 깨닫는다. 여러 번의 시도 끝에 범인을 붙잡아 이름을 캐내는 데 성공하고, 굿윈에게 정보를 전달한 그는 마지막 접속을 부탁하며, 접속한 후 8분이 지나면 자신을 죽여달라고 굿윈에게 부탁한다.접속이 시작되고, 8분이 지나자 약속대로 접속을 끊는 굿윈. 마지막으로 대위는 기차 안에 있는 코미디언에게 자신들을 웃기면 100 달러(지갑에는 126달러가 있었다.)를 주기로 내기를 하고 그곳에 있는 모든 탑승객이 웃는 상황에서 콜터와 크리스티나가 키스를 하며 세상이 멈추는 장면은 이 영화의 명장면이다.

그리고 새로운 시작

영원히 멈출 것 같은 세계가 다시 활동하기 시작하며 이제는 숀 펜트리스로서의 삶을 시작한 콜터 스티븐스. 소스 코드는 개발한 사람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막강했기 때문에, 콜터 스티븐스가 활약했던 평행세계가 접속을 끊음과 동시에 다른 평행우주로 분리된 것. 콜터 스티븐스 대위는 새로 형성된 세계의 굿윈에게 이곳에서 소스 코드 임무를 수행하게 된 콜터 스티븐스를 잘 부탁한다는 안부를 보내며 영화는 끝이 난다.

참고로 굿윈 보고 새 콜터에게 모두 잘될 거라고 말해주라면서 영화가 끝나는 이 부분에 복선이 있는데 이 대사는 영화 시작할 때 굿윈이 콜터보고 말해주던 대사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초반부에 이상하게도 소스 코드를 가동하고 싶지만 그럴 만한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대사도 있다. 굿다운로더 및 웹 유출본에선 편집이 됐는지 나오지 않는 대사들이다 즉 이 영화에서 다뤄지는 부분이 첫 루프가 아닐 수도 있다는 것. 흠좀무.

영화 중간 중간에도 복선이 깔리는데 주인공이 현실로 돌아오는 시점은 언제나 "8분 리미트가 끝난 후"가 아니라 "주인공이 죽은 후"였다. 기차 밖에서 기차가 터진 다음 다른 기차에 깔려 죽거나, 범인을 잡으러 따라갔다가 총에 맞아 죽었을 때 등은 모두 '8분이 지난 시점'이었으나 즉시 현실로 돌아가지 않았으며, 죽었을 때 비로소 돌아갔던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즉, 소스 코드 속에서 죽지 않는 이상은 현실로 돌아오지 않음을 간접적으로 깔아둔 것이다.

평가

로튼 토마토 지수는 92%로 신선한 토마토이다. 관객 점수는 IMDB 점수 7.5점,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74점으로 외국에서의 관객 평 역시 준수한 편. 한국에서의 평가는 대체적으로 좋으며 네이버 점수 8.95점을 기록 중입니다.

포스터에 써있는 'SF액션의 진화'는 그냥 마케팅을 위한 홍보용으로 붙인 거고, 실제로는 액션이 중심인 영화가 아니다.

영화적으로 사실 시간을 반복한다는 요소는 '사랑의 블랙홀'과 같은 고전 걸작에서부터 이미 써먹었던 설정이지만, '소스 코드'는 더 나아가 통 속의 뇌와 평행우주 이론을 도입해 보다 세련되게 표현했단 평입니다.

개봉 후 제2의 '인셉션' 소리를 들으며 영화의 난이도와 접근성에 대해 많은 관련 게시물들이 올라왔지만, 사실 '인셉션'을 비롯한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평행우주, 양자역학, 루프물 등을 자주 접해왔던 영화 매니아들에게 있어 본 영화는 별 무리없이 다가왔다. 오히려 일반 관객층에서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는데, 인터넷 게시판을 보면 이 영화를 시간 여행물로 잘못 이해하여 주인공이 과거를 바꾸어 다시 살아남았다는 식으로 해석하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소스 코드'의 번역가는 이런 사소함도 놓치지 않았으니...놓쳤어야 했는데

전년도 개봉작 '인셉션'과 비교되며 2010년에는 '인셉션'이 있었다면 2011년엔 '소스 코드'가 있다! 란 소리를 들을 정도로 호평을 받으며, 평론가들의 평가 역시 좋습니다.

흥행

총 제작비 3200만 달러를 들여 북미 흥행 5470만 달러, 월드와이드 합계 1억 4700만 달러를 벌어들이는 등 흥행에도 성공했습니다.

여담

영화 번역가 홍주희가 자막을 맡았다. 오역은 둘째치고, 관객들이 혹여나 이해를 못했을까 우려하여 엔딩 크레딧에다 친절히 단어 설명을 해주는 드립을 시전하였습니다.

영화 자체가 결말의 여운이 강한 타입이라 이 친절은 더 끔찍한 폐해로 다가왔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